2018년 주택 구입 해도 되나?
- 부동산 팁 소식 정보
- 2017. 11. 7. 14:14
2018년 주택 구입 해도 되나~?
새 정부가 들어서고 8월 부터 강력한 부동산 정책들이 실행되고 계획 되어져, 주택 시장에서 투자는 물론 실거주를 위한 매매 계획 하신 분들도 적잖이 당황하셨을거라 생각 됩니다.
부동산의 한 종류인 주택은 현 정부에서 투자, 투기 대상이 되어선 안된다고 선을 그었기 때문에 언제나 그랬듯 부동산은 정책 따라가는게 맞습니다.
저는 진짜 문제는 다주택자 분들이라 생각이 되지 않습니다. 다주택자 들이야 여러가지 선택의 길이 없는것도 아니고, 보유세 인상 없이는 대부분 버티기 들어갈 거라고 생각 됩니다.
진짜 문제는 실거주자 분들 입니다. 주택 계획을 하셨던 분들 중 특히 서울과 수도권등 분양가상한제 지역이나, 투기과열지구, 투기지역에 보금자리를 마련하려고 하셨던 분들은 매우 곤혹스러운 상황이 왔을거라 생각 되고 2018년인 내년에는 더더욱 그럴것이라 생각 됩니다.
참고로 투기과열지구 이상의 지역에서는 주택 구입시 실거주계획과, 자금조달 계획서까지 부동산거래신고시 제출하여야 합니다.
지금 서울의 아파트 중위권 거래 가격이 6억선이고 서울의 위성도시들의 중소형 아파트의 중위권 가격은 3-4억대 입니다.
실거주 매매를 가장 많이 고려할 30-40대를 생각하였을 때 실제로 대출 없이 내 집 마련 할 수 있는 가구가 몇 이나 있겠습니까?
연일 나오는 부동산 뉴스의 댓글을 보면 돈 없으면 집사지 말라, 대출로 집사는게 말이냐?, 집 값 떨어지면 사오면 된다 지금은 거품이다,,, 등등 많은 댓글들이 보입니다.
주택을 투기하지말고, 특히 대출로 투기 하지 말라는 뜻은 아주 잘 알겠습니다.
하지만 서울과 서울 위성도시의 사람들은 돈 없으면 대출로 집 사면 안됩니까? 전세는 싼가요? 월세는 쌉니까? 월세 비싸고 전세 불안하니 대출 받아서 집 사고 싶어 하는거 아닙니까?
물론 갚을 능력이 떨어지면 대출을 일으키면 안되는건 맞지요.
하지만 지금의 분양가상한제지역,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등 의 대출규제는 돈 없는 사람은 집사지 말라는 규제 입니다. 이건 너무 가혹 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나 서울은 대출 없이 집살수 있는 가구가 얼마나 많겠습니까? 그래서 집 값 떨어뜨리려 한다구요? 모르겠습니다. 전 진짜 다른덴 몰라도 서울은 집 값 떨어질 일 없을거라 생각 됩니다.
누가봐도 수요에 비해 공급이 훨씬 적은데요. 위성도시로 가라고 하면 위성도시는 그렇다고 쌉니까? 아님 직장 놔두고 출퇴근 2시간씩 걸리는 외곽으로 가야 되나요?
다주택자나 투기수요를 막자는 대출규제는 맞는 이야기지만, 무주택자등을 위한 대출규제는 현재는 매우 가혹 합니다. 신DTI나 내년 말 예정인 DSR은 무주택자들은 괜찮다구요? 무주택자는 10% 완화라구요? 그래봤자 40-50% 인데요.
이번 대출규제는 무주택자들에게 너무 불리한 정책 입니다. 무주택자들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존재 해야 한다는 생각 입니다.
좋아요. 서울 집 값 기다리면 떨어진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럼 그 동안 전세 들어가 살라는 얘기인데 다들 집 값 떨어지길 기다리면 전세 수요는 당연히 증가하겠지요? 전세값 올라가는건 물흐르는것 보듯 뻔한 것입니다.
아파트만 주택이냐? 빌라로 가면 된다고 하시는 분들 빌라 대부분이 다가구이며 다가구 전세가 얼마나 위험한지는 아십니까? 실제로 다가구 전세 사시는 분들 많지만,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사각지대에서 매우 불안해 보입니다.
2018년 공급, 입주 대란이라고 하지요? 맞습니다. 하지만 서울은 아닙니다. 제가 얘기하는건 서울과 서울 인근 위성도시들 얘기하는것이구요.
화성이나 일부 도시들은 역전세난에 대비해야 할 것입니다.
서두가 너무 길었는데, 2018년도 주택 구입 제 생각은 서울과 서울 인근 지역의 위성도시들은 사도 된다고 생각 합니다. 능력 되시는 분들만 살 수 있겠지만 그런 분들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온 것이라 생각 됩니다.
서울과 주변도시는 개인적으로 일시적으로 가격 하락이 있을수 있겠으나 장기적으로 매매가 괜찮다는 생각 입니다.
한 두푼 하는 것도 아니니 물론 신중히 고려하시고 자신의 소신을 가지고 선택 하셔야 될 문제 입니다.
자금의 여력이 충분 하신 분들은 경매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시는 것도 2018년도 주택구입에 있어 매우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 됩니다.
청약은 100% 가점제 지역에선 왠만한 30-40대 분들은 주요 청약단지에서는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생각하셔야 겠습니다.
청약 보다는 경매 물건, 발품 파시어 급매 물건 노리는게 현명해 보입니다.
지방은 진짜 주위 하셔야 됩니다. 서울과 부산등 일부 지역을 뺀 지방 특히 화성이나 세종처럼 대규모 입주 계획이 있는 곳은 아주 신중히 접근 하시길 바랍니다. 화성이나 세종은 정말 장기적인 시점으로 봐라봐야 합니다.
'부동산 팁 소식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월세 잘 구하는 팁 (0) | 2017.11.10 |
---|---|
임차권등기명령, 미리미리 알아둬야 당하지 않는 주택임대차 필수상식 (0) | 2017.11.09 |
묵시적갱신 이후 중개수수료(복비)는 누가 내야 할까~? (0) | 2017.11.06 |
쉽게 알아보는 전세,월세 계약의 묵시적갱신 (2) | 2017.11.06 |
상가 권리금 보호 (0) | 2017.11.05 |
이 글을 공유하기